우울증 증상 정리
정보를 알려주는 티타 입니다. 새로이 다룰 내용은 현대인의 병으로도 알려져있는 우울증의 증상을 총정리 해보겠습니다. 그럼 어떻게 된 일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우울증 증상 정리
우울증은 분별하기 쉬운 징후만 보이는 것이 아닙니다.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도 종종 나약함과 우울 증상을 혼동해 병원 방문을 주저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입니다.
그렇기에 우울증 증상을 정리 해보겠습니다.
어떻게 된 일인지 정리해보겠습니다.
우울증도 다른 신체적 질병과 마찬가지로 조기 치료를 받을수록 효과가 나쁘지않은 만큼 자기자신의 증상을 빨리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프리벤션닷컴'에 따르면 기분이 침체된 상태에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동반된다면 우울증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1. 매일 3잔 이상의 술을 마신다
우울증이 없는 사람도 스트래스를 해소할 생각으로 종종 늦은 밤 술을 마십니다. 가볍게 한잔정도 마시는 수준에 그칩니다면 스트래스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2~3잔 이상 마시게 되면 오히려 공격적이고 불안한 감정이 증폭되고 우울감 역시 커지게 됩니다. 실질적으로 우울증 환자 3명 중 1명이 알코올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2. 예전보다 통증에 예민합니다
우울증과 통증은 동일한 생물학적 경로와 신경 전달 물질을 공유합니다. 이로 인해 우울증 환자의 75%가 만성 통증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페인(Pain)'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우울증 환자 우울증이 없는 사람들보다 목과 등에 극심한 통증이 일어날 확률이 4배 이상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또 복통이나 두통의 형태를 보이기도 하고 평상시보다 통증에 예민해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3. 배가 부른데도 계속 먹는다
우울증에 빠지면 마트에서 장을 보거나 요리를 하는데 흥미가 떨어집니다. 따라서 대다수의 섭취를 즉석 식품으로 때우게 되는데 여기에 감정적 식욕인 가짜 식욕까지 더해져 급격히 체중이 불어나기 시작합니다.
체중이 늘어나면 죄책감까지 동반되면서 우울증이 점점 더 심해집니다. '오비서티(Obesity)' 저널에 실린 연구 논문에 따르면 우울증과 스트래스 수치가 높아질수록 체중 조절이 어려워집니다.
4. 분노를 표출하는 빈도가 잦아집니다
작은 실수에도 버럭 화가 나고 투덜거리거나 불평을 토로하는 연습이 점점 일상화되고 있다면 우울증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미국의사협회지 정신의학(JAMA Psychiatry)'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우울증 환자의 54%가 분노하기 시비 걸기 적대적인 감정 보이기 급한 성미 드러내기 등의 성향을 보였습니다.
5. 영혼 없는 좀비처럼 행동합니다
불같이 화를 내는 사람도 있지만 반대로 아무런 감정적 동요를 보이지 않는 사람도 있습니다. 감각이 없이 멍한 듯 보여 마치 좀비가 연상되기도 합니다.
웃음이 줄어들고 눈물도 더 이상 나지 않습니다. 때로는 지나치게 냉담하고 차가워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가 소원해지기도 합니다.
우울증은 30-40대에 제일 흔그러나 어느 연령에서나 발병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우울증의 기본 증상은 의욕 저하가 대표적이지만 연령과 성에 따라 독특하게 표현되기도 하므로 아래의 특징을 알아두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남달리 우리나라에서는 감정을 표현하기보다는 감추는 것이 미덕으로 여겨져 우울증이 우울한 감정보다 신체적 증상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 산후 우울증 갱년기 우울증 등 특정 시기에 우울증의 위험이 높아 주의를 요합니다.
우울증의 결과가 때로 알코올 의존이나 남용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이차성 알코올 의존이라고 합니다. 이 경우 우울증을 치료하면 알코올 문제도 호전될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이 중요한다고 생각합니다.
연령에 따른 특이한 우울증상
3. 병원을 방문해야만 하게되는 경우
우울증의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경우에는 정신과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우울증이 심할 때 부정적인 생각이 지배하기 쉽고 이런 이유로 치료에 대한 기대도 부정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게 때문에 가족 친구 등 보호자의 지지와 역할이 중요한다고 생각합니다. 병원을 방문할 경우 환자에 대해서 잘 아는 보호자가 함께 내원하여 의사에게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수 없이 많은 도움이 됩니다.
남달리 자살사고 등 위험성이 있는 경우는 즉시 방문할 필요가 있습니다.
글은 여기까지 입니다.
부족한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엔 더 좋은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사회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몽구 건강이상설 (0) | 2020.10.14 |
---|---|
아이폰12 달라진 점 (0) | 2020.10.14 |
신창원 출소일 (0) | 2020.10.11 |
슈퍼엠 WHO, 무슨일? (0) | 2020.10.11 |
태풍 찬홈 한국영향 (0) | 2020.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