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관련

IMF 한국 평가, 충격

IMF 한국 평가, 충격



정보를 알려주는 티타 입니다.

새로이 다룰 내용은

 imf의 한국 경제성장률이 발표되었습니다.

그럼 어떻게 된 일인지 

알아보겠습니다.




IMF 한국 평가, 충격



국제통화기금(IMF)이 요번해에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1.9%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한국의 주요 교역 상대국인 미·중간 무역 갈등에 따른 계속적인 불확실성이 경기회복세를 다른 나라에 비해 더 크게 제약하고 있다는 판단입니다. 

어떻게 된 일인지 정리해보겠습니다.







IMF는 13일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보고서에서 요번해에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4%로 지난 6월보다 0.8%포인트 상향 조정했습니다.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0.2%포인트 올렸습니다.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은 0.2%포인트 내린 5.2%로 전망하면서 한국의 내년 성장률 전망도 0.1%포인트 내린 2.9%로 전망했습니다. 





01234


IMF는 지난 6월 세계경제전망에서 코로나19 타격을 갈등해 요번해에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월보다 0.9%포인트 내린 -2.1%로 내다봤습니다.

IMF의 우리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0%)  아시아개발은행(ADB  -1.0%)  피치(Fitch  -1.1%)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0.9%)  무디스(-0.8%)보다 낮입니다.







다만 IMF 분류상 선진국 39개국 중 대만(0.0%)  리투아니아(-1.8%)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OECD 회원국 37개국 중에선 리투아니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 상향 조정폭(0.2%포인트)은 미국(3.7%포인트)  브라질(3.3%포인트)  프랑스(2.7%포인트)  독일(1.8%포인트)  중국(0.9%포인트)  일본(0.5%포인트)  영국(0.4%포인트) 등보다 작았습니다.






DB금융투자는 14일 "요번 팬데믹 위기는 중기적으로 세계경제 성장 잠재력에 상처를 주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박성우 연구원은 "IMF는 금번 위기와 관련해 1) 고용시장 회복에 오랜 기간 소요 2) 불확실성 증대 3) 부채 부담 증가 4) 투자 억제 및 교육 기회 상실로 인한 인적자본 손상으로 중기적으로 세계경제에 상처를 남길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이라고 지적했습니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박 연구원은 "IMF는 2021년 기술적 반등 이후 세계경제 성장률은 크게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면서 "전염병 유행 이전 수준 대비 전세계 산출량의 누적 손실분은 20~21년 11조달러에서 20~25년 28조달러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고 요약했습니다.

IMF  성장률 전망 상향한 뒤 세계경제 지역별 차별화에 무게

IMF는 13일 2020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을 -4.9%에서 -4.4%로 상향조정했습니다.






10월 IMF 경제전망 보고서 제목은 A Long and Difficult Ascent(길고 어려운 등반)입니다.

지난 6월 전망 대비 요번해에도 성장률 전망치 상향 조정 근거는 1) 2분기 침체 폭이 예상보다 덜 깊었고 2) (일부 신흥국을 제외하고) 3분기 회복신호가 예상보다 양호했으며 3) 유달리 중국의 빠른 회복이 확인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2021년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5.4%에서 5.2%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박 연구원은 "IMF는 보고서 제목처럼 세계경제가 팬데믹으로부터 회복되는 그림은 고르지 못하고 불확실하면서 느린 호흡으로 진행될 것으로 평가했습니다"고 해석했습니다.

IMF는 세계경제 회복이 지역별로 차별화될 것으로 봤습니다.







경기 회복력은 중국 」 선진국 」 중국 이외 신흥국 순으로 봤습니다. 

IMF는 요번해에도 선진국 성장률을 -8.1%에서 -5.8%로 상향 조정한 반면 중국을 제외한 신흥국은 -5.0%에서 -5.7%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인도 전망치가 -4.5%에서 -10.3%로 큰 폭 조정되었기 때문입니다. 

중국 성장률 전망치는 6월 1.0%에서 1.9%로 높이며 주요국 가운데 유일한 플러스 성장을 예상했습니다.






 한편 경기 회복력 측면에서 중국은 코로나 사태 이전의 실질GDP 경로를 상당 부분 만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반면 선진국은 2021년 4분기 실질GDP가 팬데믹 이전 추세 대비 4.7% 미달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글은 여기까지 입니다.

부족한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엔 더 좋은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사회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경 입대 심경고백  (0) 2020.10.19
정배우 로건 사과  (0) 2020.10.15
정몽구 건강이상설  (0) 2020.10.14
아이폰12 달라진 점  (0) 2020.10.14
우울증 증상 총정리  (0) 2020.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