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관련

독감백신 아질산염 논란

독감백신 아질산염 논란



정보를 알려주는 티타 입니다.

새로이 다룰 내용은

 독감백신 아질산염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된 일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독감백신 아질산염 논란



인천에서 독감 백신을 접종한 뒤 이틀 만에 숨진 채 발견된 고등학생의 위에서 치사량 이상의 아질산나트륨(아질산염)이 검출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어떻게 된 일인지 정리해보겠습니다.







숨진 고교생의 형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부검 결과를 믿을 수 없다며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진상규명을 호소했습니다.

27일 인천미추홀경찰서는 지금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부터 숨진 A군(17·고교 3학년)의 위에서 치사량(4g) 이상의 아질산나트륨이 검출된 부검 결과를 통보받았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은 탐문을 통해 A군이 백신 접종 전에 모처에서 아질산나트륨을 구입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아질산나트륨은 육가공품인 고기의 발색제로 사용하는 화학물질이라고 합니다. 

다량을 먹으면 사망할 수 있습니다.

경찰은 A군이 미추홀구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된 지난 16일 오전 8시 전에 자신의 힘으로 아질산나트륨을 삼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A군이 아질산염을 먹은 것으로 봅니다"라며 "음독한 것으로 백신 접종과의 관련성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A군이 왜 이런 선택을 했는지 구체적인 동기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반면 숨진 A군의 형은 "동생은 자살을 할 이유가 완전 없습니다"라며 "동생의 억울함을 풀어달라"라고 억울함을 호소했습니다.

이날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제 동생의 죽음의 억울함을 풀어주세요'라는 제목의 글이 게재됐습니다. 







자신을 독감 백신을 맞고 이틀 만에 숨진 인천 17세 고등학생의 형이라고 밝힌 청원인은 글을 통해 "국과수에서는 독감과 관련이 완전 없다는데 (동생이) 사망하는 데 영향이 하나도 없다는 것은 믿을 수 없습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국과수는 부검 결과 위에서 ****이 치사량으로 다량 검출됐다고 합니다"라며

 "경찰은 타살과 사고사가 아닌 것 같아 자살에 비중을 두고 수사하고 있지만  동생은 성적도 전교 상위권이고 대학 입시도 마쳐 심리적인 압박감이나 스트래스가 최소 상태였습니다"라며

 동생의 극단적 선택 가능성에 반박했습니다.






실제 인천 미추홀구경찰서는 숨진 A군 부검 결과 치사량 수준인 4g의 아질산염이 검출된 점 등을 근거로 자신의 힘으로 극단적 선택을 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수사 중이라고 합니다.

경찰은 A군이 몸소 아질산염을 구입한 사실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숨진 학생이 지금 모처에서 아질산염을 구매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고 말했습니다.


 




01234



그러나 청원인은 A군에게 자살 동기가 없었다면서 

"경찰이 사건을 자살로 몰아가고 있습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동생이 죽은 후인 지난 19일 질병관리청이 유족 동의 없이 동생 사망 브리핑을 진행했습니다.

 (항의했더니) 질병청 대변인이 사과하면서 사인이 독감이면 나라에서 책임지고 사안이 독감이 아니어도 피해보상을 하겠다고 구두 약속했습니다"고 강조했습니다.






청원인은 "대변인과 통화한 그 날 저녁 담당 형사가 국과수로부터 사인을 들었다며 동생이 평상시에 자살할 징후가 있었는지  아질산염을 복용했는지 등을 묻더라"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경찰은 타살이나 사고사가 아닌 것 같아 자살에 비중을 두고 수사를 하다는데 평상시 이상한 점을 찾지 못했다고 합니다. 







(동생은) 사망 전날 독서실에서 집에 오는 CCTV 화면 속에서도 친구와 웃으며 대화하면서 왔습니다"며 자살 징후가 없었음을 강조했습니다.

글은 여기까지 입니다.

부족한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엔 더 좋은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사회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근혜 징역 정리  (0) 2020.10.29
유지민 악성루머  (0) 2020.10.28
엄정화 나이 재산  (0) 2020.10.25
코로나 부작용 15가지  (0) 2020.10.24
이근대위 하차 이유  (0) 2020.10.23